이번 포스팅은 사내에서 Elasticsearch 관련 내용 발표를 위해 "시작하세요! 엘라스틱서치"서적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Elasticsearch 역시 내용이 많기 때문에 시리즈로 나눠서 정리할 예정이다. 모든 내용은 Elasticsearch 7.6 버전 기준이다. 오늘은 Elasticsearch 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이다. Elasticsearch 환경구축 본격적으로 Elasticsearch 를 사용해보기 전에 우선은 Docker 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환경을 구축해보자.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Elasticsearch Image 를 Pull 받는다. docker pull elasticsearch:7.6.2 그 후, 이미지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

오랜만에 포스팅이다. 이번 포스팅은 사내에서 Elasticsearch 관련 내용 발표를 위해 "시작하세요! 엘라스틱서치"서적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팅이다. 사내에서는 이미 ELK 스택 을 구성해서 Elasticsearch를 사용하고 있지만 Kibana를 이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만 했지 Elasticsearch 에 대해서는 따로 학습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번이 좋은 기회였다. Elasticsearch 역시 내용이 많기 때문에 시리즈로 나눠서 정리할 예정이다. 시리즈가 잘 마무리 되면 사내에 공유도 할 예정이다. Elasticsearch 개념 우선 Elasticsearch 가 무엇인지 개념부터 확인해 보자. 공식사이트와 위키에서 조회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Elas..

나름 바쁘다는 핑계로 안 쓰다가 오랜만에 포스팅이다.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ActiveRecord의 구조를 간략히 알아보자 이다. 포스팅의 내용은 아래의 책을 읽고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다.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Metaprogramming_Ruby_2.html?id=V0iToAEACAAJ&source=kp_cover&redir_esc=y ActiveRecord 란? ActiveRecord는 Ruby의 객체와 Database를 맵핑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이는 ORM 이라 불리며 이를 이용해 RDB 와 OOP 간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은 ActiveRecord의 소스코드 구조에 대해서 확인하고, 이들이 어떻게 조합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mysql lock
- 갭 락
- 루비
- db
- Pair-programming
- 트랜잭션
- innoDB lock
- 엘라스틱서치 기초
- ruby
- 되추적
- 루비 메타프로그래밍
- MySQL 인덱스
- ruby meta programming
- autoload_paths
- 페어 프로그래밍
- gap lock
- MySQL 족보
- metaprogramming
- next key lock
- MySQL
- InnoDB
- dead lock
- 인덱스
- 넥스트 키 락
- lock
- 페어프로그래밍
- 루비 상수
- Autoloading
- Elasticsearch Cluster
- 메타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